![]() |
브레이크뉴스 박수영 기자= 지난해 경영 여건이 녹록치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액 상위 100대기업이 고용한 인원이 80만명에 육박하며 고용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또한, 2018년 대비 고용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LG전자였다.
2일 사람인에 따르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중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84개사 직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용인원은 79만1144명이었다. 이들 기업들이 2018년에 고용한 인원(78만4271명) 대비 6873명 증가했다.
개별 기업별로 살펴보면, 직원수가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기업은 ‘LG전자’로 전년대비 2412명이 증가했다.
이어 △SK하이닉스(2272명↑) △삼성전자(2246명↑) △현대트랜시스(1918명↑) △LG화학(1731명↑) △삼성SDI(789명↑) △현대자동차(630명↑) △한국전력공사(542명 ↑) △SK텔레콤(480명↑) △한화에어로스페이스(472명↑) 등이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특히, 10위 안에는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그룹 계열사가 나란히 두 곳씩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같은 기간 직원수가 늘어난 기업은 53개사로, 줄어든 기업(31개사)보다 많았다.
조사대상 대기업 중 21개사(25%)가 1만명 이상을 고용 중인 가운데, 직원수가 가장 많은 곳은 부동의 1위인 ‘삼성전자’(10만5257명)였다.
다음으로 △현대자동차(7만32명) △LG전자(4만110명) △기아자동차(3만5675명) △SK하이닉스(2만8244명) △LG디스플레이(2만6665명) △이마트(2만5779명) △롯데쇼핑(2만5298명) △케이티(2만3372명) △한국전력공사(2만3137명) 등이 10위권을 이뤘다.
100대 기업이 속한 그룹(대규모기업집단)별로 묶어 살펴보면, 삼성그룹이 16만7417명으로 1위였고, △현대차그룹(14만8045명) △LG그룹(11만1488명) △SK그룹(4만5547명) △롯데그룹(3만6897명) △신세계그룹(2만8542명) △포스코그룹(2만5095명) 순이었다.
남녀 전체 직원수를 개별 공개한 47개사 중, 남성 직원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한온시스템(96.7%)이었으며, △현대제철(96.5%) △기아자동차(96.3%) △고려아연(96.3%) △대우조선해양(95.9%) 순이었다. 이들 기업의 경우 남성 비율이 95%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여성 직원 비율이 높은 기업은 △신세계(69%) △이마트(63.2%) △아시아나항공(52.7%) △호텔롯데(44.8%) △SK하이닉스(36.3%) 등이었다.
조사대상 기업 중 남성 비율이 전체 직원의 50% 이상인 기업은 93.6%(44개사)였으며, 90%를 넘는 ‘슈퍼 남초 기업’도 36.2%(17개사)에 달했다. 반면, 여성 비율이 직원의 50% 이상인 기업은 3개사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