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경북 】이성현 기자= 사회적경제 주체들의 축제의 場인 ‘2017 경상북도 사회적경제대회’ 가 27일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열렸다.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에 관심 있는 주민들이 참여해 단합과 상호 교류를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네트워킹을 촉진을 도모하는 자리인 이번 박람회에는 김관용 도지사를 비롯해 도의원, 사회적경제기업 관계자, 유관기관, 지역대학 학생, 청소년, 주민, 관계공무원 등 5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경북도는 지난 한 해동 안 사회적 경제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낸 업체 및 관계자들을 위해 각 분야별로 수상자를 선정, 시상하는 등 사회적 경제 주체들의 사기를 진작시켰다.
|
올해 사회적경제상 시상식에서 경북도 사회적경제 발전을 이끈 사회적경제대상은 (사)유은복지재단 나눔공동체(원장 이종만)가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고, 사회적기업분야에서 질적․양적 성장을 이룬 기업에 주는 스타사회적기업상은 ㈜제일산업 등 3개 업체가 받았다.
또, 이와 함께 사회적경제기업인·단체·사회적경제 관련조직, 공무원 등 총 17명의 유공자에 대한 표창도 있었다. 이들 선정 업체 및 관계자에 대해서는 도 재정지원사업 참가시 우선 지원이 되고 방송 등의 홍보도 지원한다.
대상을 받은 (사)유은복지재단 나눔공동체(안동 소재, 이종만 원장)는 장애인 및 사회적 취약계층의 직업재활을 위해 1994년 나눔공동체를 설립하고 2002년에는 경북 최초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로 허가를 받았다. 새싹채소 생산량 등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평가에서는 전체 고용인원 70여명 중 장애인 51명, 고령자 6명 등 사회취약계층 고용률 80%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심사위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스타 사회적기업상을 수상한 ㈜제일산업은 칠곡에 소재하고 있다. 자체 브랜드 나누미 종이컵을 제조하는 업체로 1999년 설립하였으며 시장 점유율 3위를 자랑한다. 경제적 성과를 통해 재정지원사업 종료 후에도 근로자 전원을 정규직으로 채용, 장애인 근로자의‘안정적인 고용환경’과‘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이다.
예천에 소재하는 ㈜한국에코팜은 지역 농산물의 종자, 육묘판매와 같은 새로운 고부가가치 농업을 활용해 농촌의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이를 통해 농촌 공동체를 회복시키는 기업이다. 예천의 귀농형제가 종자관련 산업을 사회적기업으로 운영하면서 종자를 증식하고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사회에 이바지하고 있다.
|
울진에 소재하는 드림돌봄센터(주)는 2004년 울진지역 최초로 가사지원 사업단을 설립해 사회서비스가 전무하던 척박한 환경에서 어르신들과 취약계층의 돌봄사업을 운영해 왔다. 2017년 전체 이용 대상자들만 300여명이 넘고, 특히 경력단절 여성과 장애인 등 근로 취약계층의 고용 창출이 두드러졌다.
경북도, 사회적 기업 실질적 지원책 내놓아
이런 가운데 경북도가 이들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실질적 지원책을 제시했다. 일단, 그동안 추진해왔던 사회적경제기업제품 공공구매 촉진은 더욱 강화한다. 이를 위해 경북도와 시군 지자체,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 경상북도경제진흥원 등 지역소재 공공기관, 경북도 출자출연기관 등 6개 기관과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 협약은 사회적경제 기업들의 지속성장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공공구매 확대에 적극 노력하고 시장개척, 홍보 등에 협력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날 본 행사를 마친 뒤 사회적 경제를 통한 지역발전 모색을 위해 전국 청년 100여명이 한자리에 모여 ‘사회적경제 포럼’인 청년 활동가대회’가 열렸다.
사회적경제 포럼에서는 김제선 희망제작소 소장이‘지역중심 사회적경제 정책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포함해 기우진 러블리페이퍼 대표의‘사회적 지지와 비즈니스 모델’, 김여명 합굿마을문화생산자협동조합 대표의‘문화예술분야 합굿마을 성공사례’, 허만종 희망세상보호작업장 대표의‘취약계층 일자리창출에 기여한 지역 사회적기업 육성사례’ 등 지역별로 사회적경제 성공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한편, 동락관 앞 광장에서는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판매․홍보전이 열렸다. 사회적경제기업, 청년, 교육청 청소년 부스 등 총 60여개 부스에서 사회적경제기업과 단체에서 생산한 다양한 제품이 판매됐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지난 18일 발표된 정부의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방향에 맞추어 지속가능한 생태계성장 인프라 구축과 사회적경제 붐 조성을 위해 오늘 행사는 뜻깊은 자리다” 면서 “앞으로 청년 사회적기업가를 양성하고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는데 많은 지원을 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대구경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