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이크뉴스 노보림 기자= 산후조리원 내에서 로타바이러스와 폐렴을 일으키는 RSV 등 감염사고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산후조리원 이용 현황’자료에 의하면 산후조리원에서 전염병에 걸리는 신생아 및 산모가 2013년 101명에서 2016년 489명으로 4.8배 증가했다.
또 RSV감염·감기·폐렴 등 호흡기 질환은 2013년 28명에서 2016년 222명으로 10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상반기까지 산후조리원에서 277명의 산모와 신생아가 감염됐으며, 로타바이러스 감염 87명, RSV감염 67명, 감기 67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감염이 가장 많았던 질병은 로타바이러스감염으로 138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감기(120명), RSV감염(54명), 장염(31명), 기관지염(30명), 뇌수막염(20명) 순이었다.
아울러 산후조리원 이용요금도 천차만별이어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산후조리원 이용요금 현황’에 의하면 산후조리원 이용요금(2주)이 최대 2,000만원(서울 강남구 A산후조리원)에서 최소 70만원(전북 정읍시 H산후조리원)으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이 가장 싼 산후조리원의 28.6배의 요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 시도별 평균 이용요금은 서울 314만원, 경기 234만원, 대전 231만원, 울산·충남 227만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남에 위치한 산후조리원이 가장 저렴한 비용(123만원)을 받고 있었다.
이에 대해 남인순 의원은 “산후조리원 이용이 늘어나면서, 산후조리원 내 감염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안산에서 로타바이러스 의심 증상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산후조리원에서 즉각 신고하지 않는 등 산후조리원에서 감염이 발생할 경우 제대로 신고하지 않아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 문제”라며, “산후조리원 내 감염 발생 시 보건소에 즉각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보건당국에서도 정기적으로 산후조리원 종사자 등의 감염성 질환 발생을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남 의원은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평균 234만원이 들고, 7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 이용요금이 천차만별인데 소비자인 산모가 산후조리원 요금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직접 산후조리원에 전화를 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소비자 선택권을 높이기 위해 산후조리원 이용요금, 감염병 발병 현황, 시설 현황 등에 대한 정보공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