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최정예 전투부사관" 육성의 주체이자 요람인 육군부사관학교(학교장 류성식 소장)는 26일 부사관 상징물 제막식과 함께 2016년 첫 신임 부사관 임관식을 개최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육군부사관학교 류성식(소장) 학교장을 비롯 유가족 등 주요 참석자들이 전쟁영웅 연제근 이등상사 흉상 제막 후 고인의 명복을 빌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육군부사관학교 류성식(소장, 왼쪽 앞줄에서 네 번째) 학교장과 6.25 전쟁영웅 최득수(오른쪽 앞줄 첫 번째) 옹을 비롯 유가족 등 주요 참석자들이 전쟁영웅 김만술 특무상사 흉상을 제막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육군부사관학교 국립전사박물관 앞 광장에 전통 전사의 상무정신 ⋅ 미래 전사로서의 역할과 비전 등을 되새길 수 있도록 조선시대 군관(軍官)을 형상화한 전통 전사상(戰士像) 및 최첨단 장비로 무장한 미래 전사상 상징물이 위용을 드러내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육군부사관학교 류성식(소장) 학교장이 제막식 직후 미래 전사상 상징물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재)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4차 명예이사로 추대된 주요 참석자 및 전년삼(스카이개발 회장, 왼쪽 앞에서 세 번째) 명예부이사장 등이 간부식당에서 점심 식사를 하기 위해 군 재임시절을 회상하며 식판을 들고 자율배식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육군부사관학교 류성식(소장) 학교장이 주요 참석자들과 함께 부사관 후보생을 격려하기 위해 마련한 오찬에 앞서 흐뭇한 표정으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26일 육군부사관학교(학교장 류성식 소장) 상징물 제막식 및 2016년 첫 신임 부사관 임관식에 참석하기 위해 방문한 김영배 전북도의회 의장이 오찬에 앞서 부사관 후보생들에게 격려의 말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명예이사로 활동하고 있는 A 이사가 부사관 후보생과 오찬을 함께하며 "군(軍) 초급간부로서 갖춰야 할 올바른 품성" 등 "학교에서 갈고 닦은 강인한 체력, 전투기술을 바탕으로 꿈을 갖고 미래를 내다보라"고 격려하는 당부의 말을 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오는 6월 임관 예정으로 훈련을 받고 있는 육군부사관 후보생들이 파이팅을 외치며 굳건한 안보의식을 다지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육군부사관학교(학교장 류성식) 2016년 첫 임관식 축하를 위해 참석한 578명의 신임 부사관 가족 및 지인들이 애국가를 제창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충성! 육군 부사관 임관을 명받았습니다. 16주간의 훈련을 마치고 軍 전투력 발휘의 중추 역할을 수행할 금빛 계급장 수여에 앞서 임관 선서를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장준규(오른쪽) 육군 참모총장이 훈련 내내 두각을 나타낸 신임 부사관에게 표창장을 수여한 뒤 격려하는 세심한 행보를 드러내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16주간의 훈련 내내 두각을 나타낸 신임 부사관들이 수상 직후 류성식(소장) 육군부사관학교장에게 경례를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16주간의 훈련을 이겨내고 당당히 금빛 계급장을 수여받은 578명의 신임 부사관을 대표해 배영민 부사관이 정희성 (재)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이사장에게 십시일반으로 모은 발전기금을 기탁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26일 오후 전북 익산시 여산면 육군부사관학교에서 열린 2016년 첫 부사관 임관식에서 장준규(왼쪽에서 두 번째) 육군 참모총장이 배영민 중사에게 계급장을 달아준 뒤 배 중사 가족들과 함께 흐뭇한 표정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군인공제회 순회교육단 정해천(예비역 원사) 홍보위원이 육군부사관학교 2016년 첫 신임부사관으로 임관한 후배에게 빛나는 하사 계급장을 달아주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16주간의 훈련을 이겨낸 578명의 신임 부사관 가족 및 지인들이 임관식에 앞서 금빛 계급장을 달아준 뒤 관람석으로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16주간의 훈련을 이겨내고 당당히 금빛 계급장을 수여받은 578명의 신임 부사관들이 임석상관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장준규 육군 참모총장이 육군부사관학교 2016년 첫 임관식에 참석 "현 안보 상황의 위중함을 명확히 인식하고 완벽한 대비태세를 유지해야 한다" 며 "초급간부로서 올바른 가치관과 인성을 바탕으로 배치된 각 부대에서 실질적인 군(軍) 전투력 발휘의 중추 역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육군부사관학교 류성식(소장) 학교장이 금빛 계급장을 수여받은 578명의 신임 부사관들에게 당부의 말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육군부사관학교 2016년 첫 신임 부사관 578명이 늠름한 모습으로 연병장에 도열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대한민국 육군의 "최정예 전투부사관" 육성의 주체이자 요람인 육군부사관학교(학교장 류성식 소장) 2016년도 첫 신임 부사관들이 모자를 창공에 던지며 임관을 자축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장준규(앞줄 왼쪽에서 일곱 번째) 육군 참모총장과 류성식(소장, 앞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 육군부사관학교장을 비롯 정희성(앞줄 오른쪽에서 다섯 번째) (재)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이사장이 4차 명예이사로 추대된 29명과 함께 파이팅을 외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26일 장준규(가운데) 육군 참모총장이 2016년 첫 부사관으로 임관한 유기원(오른쪽에서 세 번째) 신임 하사 및 현재 부사관 후보생으로 훈련을 받고 있는 유 하사와 형의 두 손을 맞잡고 세 쌍둥이 임관을 희망하는 마음을 담아 가족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유 하사의 형인 유기룡⋅유기창 후보생이 신임 하사로 임관하면 세 쌍둥이가 나란히 부사관의 길을 걷게 된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정희성(앞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 (재)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이사장이 전년삼(스카이개발 회장, 앞줄 왼쪽에서 여섯 번째) 명예 부이사장 및 전북 전주지역 명예이사들과 흐뭇한 표정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류성식(소장) 육군부사관학교장이 26일 (재)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제4차 명예이사 추대식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정희성 (재)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이사장이 "북한의 거듭된 도발 상황에 군(軍)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부사관 육성에 밑거름이 될 발전기금 쾌척에 감사를 드린다"며 "여러분들이 바로 진정한 애국자라고 생각한다"는 격려의 말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재)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명예 부이사장인 전년삼 (주)스카이개발 회장이 환영의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정희성 (재)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이사장이 26일 4차 명예이사로 추대된 (주)금호기획 박명천 회장에게 위촉패를 수여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26일 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4차 명예이사로 추대돼 위촉패를 수여받은 (주)진보건설 엄선용(오른쪽에서 두 번째) 회장이 정희성(오른쪽 첫 번째) 이사장을 비롯 류성식(소장, 왼쪽에서 두 번째) 육군부사관학교장, 전년삼(스카이개발 회장, 왼쪽 첫 번째) 명예 부이사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재)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4차 명예이사로 추대된 (주)리율코리아 박정환 대표이사가 흐뭇한 표정으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김현종 기자
" 최정예 전투부사관" 육성의 주체이자 요람인 육군부사관학교 ( 학교장 류성식 소장 ) 는 26 일 부사관 상징물 제막식과 함께 2016 년 첫 신임 부사관 임관식을 개최했다 .
이날 위용을 드러낸 부사관 상징물은 6.25 전쟁 당시 베티고지 전투와 형산강 도하작전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운 김만술 특무상사와 연제근 이등상사 흉상이다 .
또 , 학교내 국립전사박물관 앞 광장에 조선시대 군관 ( 軍官 ) 을 형상화한 전통 전사상 ( 戰士像 ) 과 최첨단 장비로 무장한 미래 전사상도 제막됐다 .
육군부사관학교는 교육생들이 부사관 출신 전쟁영웅의 군인정신을 배우고 전통 전사의 상무정신 ⋅ 미래 전사로서의 역할과 비전 등을 되새길 수 있도록 재능기부 및 민간기업 ( 신한은행 ⋅ ( 주 ) 하림 ) 의 지원을 받아 이들 상징물을 제작했다 .
특히 전통 전사상은 한민족의 주 병기인 활을 들고 두정갑 ( 頭頂甲 ) 이라는 갑옷을 착용한 모습으로 조선시대의 강인한 무관을 형상화했다 .
미래 전사상은 거리측정 ⋅ 표적추적 장치가 장착된 첨단 소총과 레이저건 , 마이크로 미사일 등으로 무장하고 전천후 전투복을 착용하고 있다 .
또 , 실시간 통신소통과 정보획득이 가능한 정보통합 배낭을 짊어진 모습으로 미래 최첨단 전사의 의미를 담은 것으로 국방과학연구소로부터 검증을 받아 세워졌다 .
제막식에는 류성식 육군부사관학교장을 비롯 ( 재 ) 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정희성 이사장 , 박종왕 국가보훈처 제대군인국장 , 6.25 전쟁영웅 최득수 옹 , 김일제 전북도 행정부지사 , 제작비를 지원한 신한은행장 , ( 주 ) 하림 대표이사 및 흉상의 주인공인 고 ( 故 ) 연제근 이등상사와 고 ( 故 ) 김만술 특무상사 유가족 , 육군부사관학교 발전기금 명예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
한편 , 이날 오후 장준규 육군 참모총장 주관으로 가족 , 지인 등 3,00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6 년 첫 신임부사관 임관식이 대연병장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
이날 영예로운 임관을 맞은 578 명의 신임 부사관들은 16 주간의 부사관 양성과정을 통해 병사들을 직접 지휘할 수 있는 전투지휘능력과 전투기술은 물론 , 초급간부로서 갖추어야 할 올바른 인성과 리더십을 함양하며 전후방 각 부대에서 실질적인 " 軍 전투력 발휘의 중추" 역할을 수행할 금빛 계급장을 달았다 .
또 , 중사 이상의 계급으로 전역했다가 재입대한 예비역 35 명도 3 주간의 교육을 수료하고 이날 임관됐으며 신임부사관 가운데 유기원 (20) 하사는 세 쌍둥이의 막내로 현재 부사관 후보생으로 입소해 교육을 받고 있는 두 형으로부터 축하를 받아 눈길을 끌었다 .
유 하사의 형인 유기룡 ⋅ 유기창 후보생이 신임 하사로 임관하면 세 쌍둥이가 나란히 부사관의 길을 걷게 된다 .
장준규 육군 참모총장은 " 국가방위의 중심군 , 대한민국 육군의 자랑스러운 일원이 된 신임하사들에게 축하의 마음을 전한다 " 며 " 부사관의 임무와 역할 그리고 책임의 중요성을 명확히 인식한 가운데 부사관으로서의 당당한 자부심을 갖고 軍 전투력 발휘의 중추라는 본연의 역할을 완벽히 수행해 줄 것 " 을 강조했다 .
특히 , 장준규 육군 참모총장은 "초급간부로서 올바른 가치관과 인성을 바탕으로 현 안보 상황의 위중함을 명확히 인식하고 완벽한 대비태세를 유지해야 한다 "고 당부했다 .
원본 기사 보기:
브레이크뉴스 전북판